어휘력의 진실_사용경험의 축적
게시글 주소: https://snu.orbi.kr/00033948185
어휘력으로 인해 독해에 실패하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문장 속에 모르는 단어가 있어서 문장을 이해할 수 없다.
2. 단어를 알고는 있지만 단어를 알아보는 속도가 일반 사람들보다 느리다.
3. 단어를 알고는 있지만 단어의 의미를 일부만 알고 있거나 얕게만 알고 있다.
4. 한 단어는 오직 한 의미만 있을 거라고 생각하거나 그런 식으로 문장을 이해하다.
5. 한 단어의 여러 의미들을 알고 있지만, 문장이나 글에서 어떤 의미로 사용된 것인지 파악하는 데에는 서툴다.
6. 단어는 알고 있으나 다른 단어와 결합한 표현이나 용어는 많이 본 적이 없어 낯설다.
1.이 단어 지식이 없어서(처음 보는 단어라서) 겪는 어려움이라면, 2~6은 독해력이 낮은 사람들 대부분이 갖고 있는 ‘어휘 사용 능력 부족’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잘 모르지요.
여러분은 앞으로 ‘어휘 사용 능력’을 발전시키셔야 합니다. 충분히 어휘 지식을 쌓고, 적절한 지식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경험을 쌓아야 합니다.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세상의 것을 지시하는 단어 지식 익히기
우리가 처음 단어란 걸 알고 익힐 때 단어의 이름보다 개념을 먼저 익힙니다. 세상에 태어나면서부터 누군가의 가슴에 안겨 있고, 그 사람의 몸에서 나는 냄새를 맡고, 그 사람의 목소리를 듣습니다. 눈이 뜨고 세상을 보기 시작하면 내가 아는 냄새와 촉감을 주었던 그 사람이 눈에 보입니다. 그리고는 이런 소리를 냅니다. ‘엄~마~.’
냄새, 촉감, 체온, 목소리 그리고 나를 보살펴준 모든 경험들을 기억한 상태에서 그 사람이 ‘엄마’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즉, 엄마에 관한 ‘개념’을 학습한 후에 ‘엄마’라는 단어의 이름을 배우는 것입니다. 달고 시큼한 사과를 먹고 난 다음 그것을 ‘사과’라고 부른다는 것을 배우는 것도 똑같습니다.
개념을 지시하는 단어 지식 익히기
사과, 딸기, 수박 등등 각각의 단어를 익힌 다음, 그런 것들을 ‘과일’이라고 부른다면서 새로운 단어를 익힐 수 있습니다. ‘과일’의 경우 단어 이름부터 배운 것 같지만 사실은 사과, 딸기, 수박 등을 알고, ‘그것들과 같은 것’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만들어야 익힐 수 있습니다. 이번에도 이름부터 익힌 것이 아니라 지식이 먼저였다는 점을 말하고 싶습니다. ‘과즙’은 ‘과일’을 짜면 나오는 ‘즙’이기 때문에 ‘과일’과 ‘즙’이라는 개념의 결합으로써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먼저 배운 단어, 이미 아는 지식이 단어지식 습득에 결정적입니다. 기초단어를 잘 알아야 높은 수준의 단어를 잘 습득할 수 있습니다.
단어지식 연상 및 사용능력이 어휘력
이제 이렇게 습득한 단어 지식을 필요할 때 잘 쓸 수 있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연습이 되지 않은 단어는 단지 단어이름만 알 뿐 즉각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 그래서 쉬운 단어로 바꿔 문장을 이해하거나 단어를 안본 듯 넘어가 버립니다. 단어 지식과 같이 ‘어휘 사용 능력’을 쌓는 데 중요한 것은 사용 경험입니다.
어떤 단어의 이름과 개념을 모두 습득했더라도 다양한 문맥에서 사용한 경험이 충분하지 않으면 수준 높은 다수의 문장을 빠르게 읽을 때 이해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단어의 사용 빈도라고 하여 단어를 사용한 경험을 말하는 데, 사용 빈도가 높을수록 단어의 처리를 빠르고 적절히 할 수 있게 됩니다. 단어의 처리에 능숙할수록 글을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어는 ‘아는 것’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능숙함’도 중요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맞팔 구 0
금테 좀 달자
-
기하는 유기한다고 했으니 그려려니 하는데 공통도 유기한거야...? 혹시 강의 언제쯤...
-
이어폰 오래쓰면 청력에 악영향 있을까봐 고민임
-
안녕하십니까. 한대산 영어 연구소입니다. 2026학년도 수능을 대비하는 과정에서...
-
검은거 벅벅하는게 나음?
-
헌재 尹 탄핵 심판, 커지는 불신… “신뢰 못해” 2030 가장 높아 1
재판관 편향 논란에 절차도 문제… 여론조사서 신뢰 52 vs 43 불신 헌법재판소의...
-
홍대식 128.45인데 이 점수면 홍대 경영 안쓰는게 맞았던거겠죠? 홍대경영 대신...
-
대학 등록 0
최초합 한 대학교 등록 취소하려면 그냥 입학처에 전화해서 말하면 되나요..?...
-
집에서 따듯하게 라면먹기
-
성균관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성대25][G하우스 1인실]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성균관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성균관대학생,...
-
후보인것만 알려주네
-
1년 다니고 워홀 호주로 갈껀데 마음은 경희긴 한데 숭실 정보보호도 계약학과라 고민이 되네요..
-
문과 기준 중경외시도 못 갈 것 같으면 안 하는게 맞는 것 같음 그 아래부터는 학벌...
-
사유: 급유
-
예비받으신분들 저 빠져요
-
가능할까요 3년 동안 추합율이 180/240/130이고 모집인원이 19명인데 안 될까요
-
제곧내 오르비 이용을 거의 안해서 뭐가 좋은 지 모름 ㅎㅎ;; 메가 듣고있기는...
-
21명 정원에 예비 27번이면 가능성 제로겠죠... 작년엔 26명정원에 23명까지...
-
절대 조발안하네 아오
-
개같이광탈
-
숭실 자연 자전 0
230명 뽑는데 예비 166인데 되려나요.. 전년도는 없다고 봐야해서 모르겠네요
-
바빠서 도시락 못챙겨와서 점심 햄부기 사먹었는데 배탈남 그냥 프랭크버거 기본버거 먹었는데...
-
음음 그래그래
-
교과우수상은 그렇다 치고 진보인증서는 성적향상한 기억이 없는데
-
투표받는다. 10
-
시립떴다!!! 0
ㄹㅇ
-
글 많아서 당황했었음 근데 그냥 전전 비전식스반 줄임말이었던 건에대하여......
-
숭실대 추합 0
이거 추합 가능하겠죠? 3개년 충원률은 항상 150% 이상이긴한데..
-
상대방이 내 게시글에 쓴 댓글 삭제
-
??? 어떻게 2번이 틀린 거지?
-
오 ㅋ
-
https://orbi.kr/00071815407 혹시나 해서 슥 봤는데… 합격을...
-
숭실대 자전 되겠죠? 10
예비 6번입니다
-
설공 적정 성적대로서 직관했었는데 가채때랑 실채 비교시 실채때 적백 때문에 전체적인...
-
강기분 2025 독서 문학이 미개봉 4만원에 올라왔던데,, 그냥 교재비 14만원...
-
과투표좀 6
갑자기 궁금해서 올려봐요
-
LCK 정보) 페이커의 쉿 포즈는 페이커가 원조가 아니다 10
은근 모르는 사람들 꽤 많을듯?
-
학교에서 성적순으로 주는 장학금말고 나오는 장학금있나요?
-
오늘은 7
수학2하는 중
-
쉽지 않군 0
-
“정무적 영향 있었다” 멀어진 대왕고래…대통령실도 난감 [용산실록] 3
윤석열 대통령. [연합]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개발인...
-
ㄷㄷ 교사 입갤
-
설뱃 4
ㅎㅎ
-
설의 면접에서 눈에 띄게 잘생긴 사람이 한 명 있었음 29
옷 멋있게 입고 키 크고 잘생겼더라 붙었을까..
-
은퇴...
-
핵빵설돌던 기계도 397.9최초합 마감분위기고 395 원핵공인지 에자공인지...
-
서강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서강대 25][스펙 쌓는 대외 활동 총정리]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서강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서강대생, 서대...
안녕하세요! 어휘 전자책 구매하려했는데 정식 출간 예정이라 구매가 안된다고 하여 질문드립니다. 출간 계획에 대해 말씀해주실 수 있을까요?? (책 이름과 출간 시기가 궁금합니다!) 빠른 시일 내에 책을 보고 싶어서요ㅠㅠ
처리 속도가 느린, 경험이 부족한 어휘에 대한 반응력 자체를 훈련을 통해 올리는것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1년이 지난 글이지만 작성해주신 글을 읽고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본 글에서 '단어의 사용 빈도라고 하여 단어를 사용한 경험을 말하는 데, 사용 빈도가 높을수록 단어의 처리를 빠르고 적절히 할 수 있게 됩니다. '라고 작성해 주셨는데, 사용 빈도라는 것은 그 단어가 포함된 한 예문을 여러 번 반복한 빈도인건지, 반복이 아니라 그 단어가 포함된 여러 다른 예문들을 다양하게 접한 빈도인건지 궁금합니다. 둘 다 필요한 훈련인 것 같기는 한데 어떤 방법이 더 효율적인지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그리고 작성해주신 여러 글들 덕분에 어휘의 중요성에 대해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한 단어의 의미는 한 가지가 아니기 때문에 문장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알아차리는 연습도 필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장을 접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단어 ㅡ 의미를 암기하는 것보다 실전, 즉 독해 상황에서 단어의 의미를 연상하는 경험이 필요합니다.
답변 주신걸 이제야 확인했네요ㅜㅜ 정말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어휘의 의미를 암기하는 것은 기본이고, 암기한 의미를 다양한 문장을 접하면서 체득해야 하는 것인가요? 단순한 의미 암기보다 연상하는 경험이 필요하다고 해주셨는데 단어의 의미를 암기하지 않은 상태로 연상이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암기 후 연상훈련이 필요합니다
쪽지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