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결 [425768] · MS 2012 · 쪽지

2013-08-27 01:08:19
조회수 3,309

이안의 우문현답 제 4편 - 좋은 글을 쓰지 말고, 좋은 답안을 써라 -

게시글 주소: https://snu.orbi.kr/0003807468


어쨌든 습작에 이십대 초반을 쏟아부었던 입장에서, 좋은 글 따윈 필요없다고 말하는 게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다. 당연하다.

나뿐만 아니라, 한때 창작에 뜻을 두었던 수많은 후배들이 논술강사 따윈 글발 좀 되면 아무나 한다고 생각하고 뛰어들었다가 무참히 무릎을 꺾는 지점이 바로 여기다.

아니, 수험생들도 마찬가지다. 7년 동안, 매년 학생들을 받아 왔지만 그들에게 가장 가르쳐 주기 어려운 건 바로 이거다. '이것도 맞지 않아요?' '그래, 그 말도 맞는 말이고 좋은 말인데, 점수와는 상관없는 말이구나'

사실 이 문제는 초암 시절, 이 나라에 논술교육이라는 것이 처음 도입된 시점에서 배태된 것이다. 당시 순수 인문학 석박사 출신의 1세대 논술 강사들은 '좋은 글' '좋은 논문'을 쓰는 방법을 그대로 논술에 도입했다. 풍부한 배경지식, 탄탄한 논리구조, 총론과 각론, 이론과 실제의 연계, 유려한 문장..

이건 분명히 '좋은 글을 쓰는 방법' 임이 틀림없다. 지금까지도 그렇다. 문제는, 이 방법이 최소한 2000년대 후반, 대한민국 대입논술고사에서는 통용되지 않는다는 데 있다.

이렇게 배운 대부분의 학생들을 알아보는 가장 쉬운 방법은, 연습지를 보면 된다. 그들이 고민하는 개요작성의 흔적들이 거기 드러나 있다. 그럼 어떤 개요가 좋은 개요냐고? 아니, 질문 자체가 틀렸다. 개요를 고민하는 것 자체가 잘못된 것이다.

이건 너무나 당연한 사실이다. 1세대 논술고사의 문제들은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시오' 였다. 거기에는 출제의 의도도, 문답의 형식도 갖추어져 있지 않았다. 단지 좋은 글을 써보시오. 그게 전부였다.

하지만 지금의 논술고사는? 미안하지만 완전히 다르다.

 제시문'라'를(내용의 지시)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내용의 창안, 형식의 대응 지시) 이를 바탕으로(두번째 문제의 내용 지시) 제시문 '가'를 분석하시오(대응구조 형식의 지시).

이런 문제들이 나온다. 이미 무엇을 써야 할지, 어떤 관점에서 어떤 형식으로 써야 할지 모든 것이 주어져 있다. 비교인지, 대응인지, 창의인지, 비판인지 모든 형식과 내용이 이미 출제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또 무슨 개요를 짠단 말인가?

위의 예시는 작년 연세대 기출문제이다. 저기서 서론 본론 결론이니, 주논반재니 하면서 억지로 개요를 짜맞추려고 십분 이십분을 낭비하는 수험생들을 볼 때마다 안타깝기 그지없다.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기존의 제시문을 활용 +새로운 관점 창안)
정리된 관점들과 제시문 라를 대응시키는 문단 .(대응)
그를 바탕으로 라고 했으니 앞의 문단들을 정리하여 결론을 내리는 문단 하나.(논증)
그 결론 문단과 제시문 가 비교, 대응시키는 문단(해석비교/대응).

 개요작성은 논술에 있어서 전혀 새로운 단계가 아니다. 단지 문제가 요구하는 답안의 형태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작업의 일환일 뿐이다. 즉,
개요 작성이란 문제 분석의 산물이다.

이 명제를 이해하지 못하면, 좋은 글은 쓸 수 있을지언정, 좋은 답안은 작성할 수 없다. 어느 쪽이 더 인간으로서 유익한지, 나는 아직 알지 못한다. 하지만 나는 이 거대한 사교육 시스템의 일부일 뿐이고, 그 안에서 나의 기능적 지위에 부합하는 목적은 후자라는 사실만은 똑똑히 알고 있다. 지금의 내가 내 제자들에게 해줄 수 있는 최선은 이것이다. 좋든 싫든, 이 땅의 수험생과 강사로 만난 우리에게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은결 · 425768 · 13/08/27 01:11 · MS 2012

    그렇다고 습작으로 밤을 까맣게 칠하던 그때보다 지금의 내가 비루하다거나, 전락하였다는 건 아니다. 쓰고 싶었던 것들보다, 써야 하는 것들이 지금 더 많아졌을 뿐이다. 혹은 아직까지, 그렇게 믿고 싶은 것이다.

  • 올해는무조건간다 · 451840 · 13/08/27 01:31

    연대 사회계열 해설강의 때 계속 강조하신 내용이네요ㅎ 답을 찾으라고 노력해라.

  • pius_kmw · 447735 · 13/08/27 12:49 · MS 2013

    절대구조에서 보던 내용이네요~^^좋은글 감사합니다

  • 은결 · 425768 · 13/08/27 22:12 · MS 2012

    그렇죠 페로즈도 정선생도 각자 자기 세계가 뚜렷한 사람들인데, 이 부분에서는 견해가 정확히 일치하죠 ㅍㅍ

  • 수가100 · 377028 · 13/08/27 14:52 · MS 2011

    진리입니다. 대학교 논술은
    글 잘짓는 사람을 평가하는게 아니라 사고력과 논리력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그냥 그러한 시험에 말만 논술이라고 갖다 붙였을 뿐이죠.

  • 은결 · 425768 · 13/08/27 22:11 · MS 2012

    새로 '짓는' 시험이 아니라 '분석하는 시험이죠. 바로 그겁니다.

  • ㄷ갸ㅓㅇ라ㅓ · 439080 · 13/08/27 16:04 · MS 2017

    항상 수업시간에 설명해주시던거 여기서 또 새겨듣네요 ㅋㅋ
    근데 항상 꾸러기 st로 말씀하시고 글쓰시는 이미지만 있어서
    오늘 글은 먼가 새롭네요 ㅋㅋ,,

  • 은결 · 425768 · 13/08/27 22:11 · MS 2012

    꾸러기 스타일이라닠 ㅍㅍㅍㅍ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