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세계사 한 문제 279일차
게시글 주소: https://snu.orbi.kr/00039836109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세계사 과목을 선택한 학생은 19,055명입니다.
사회탐구 선택자 218,154명 중 19,055명이니, 사회탐구를 선택한 학생 중 8.7%만이 세계사 과목을 응시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세계사 과목은 선택자 수가 상당히 적은, 일명 '마이너 과목'입니다.
마이너한 과목이라 그런지 세계사 과목과 관련된 컨텐츠는 풍부하지 않다 못해 거의 바닥을 보이는 수준이며, 이는 제가 수험 생활을 하며 뼈저리게 느낀 부분입니다.
그래서 가능한 한 매일, 제가 직접 만든 세계사 문제를 한 문제씩 제공하여, 세계사 과목을 선택하신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279번째 날입니다.
오늘 연대 논술 있는 날이죠. 다들 잘 치르고 오시기 바랍니다.
저도 친구가 연대 논술 치는 거때매 근처에 갈 듯하네용
279번째 문제는 서양사 문제입니다.
쓰읍... 문제가 쵸큼 그렇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한종철 철두철미 듣고있고 기출(내신대비) 병행해서 풀려하는데 한종철 기출 푸는게...
-
한국 중산층의 기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제시하는 중위소득의...
-
에휴 잡대 수듄
-
면세대가고싶다 1
세금안내면좋은거아님?
-
ㅋㅋㅋㅋㅋㅋㅋ 이름부터 틀딱 같죠 푸흡
-
여긴 조기발표도 안해주냐..??.?.?.?.??.?
-
너무 무서웟음
-
진짜 딮런트야.. 진짜 에이밍은 꼭 잡아야한다..
-
잇올에서 정모하실 분 ㅎ
-
침치료 개뮤섭넹 3
떨리노
-
가계 수입이 10억 넘어가면 걍 상류층 아닌가
-
9일뒤에 닉변함 3
프변도
-
추워디쟈불것네 3
얌전히 패딩을 입엇어야.. 길에서 입돌아가게 생겼네
-
설의 면접합기원 1일차 12
내 인성을 알아봐줘.. 나 그래도 착한 사람이야
-
한국외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외대25] [자취방필수품]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한국외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한국외대학생,...
-
자면 안됏는데 0
걷기엔 춥고 화장실 언제갈지두 모르고.. 응..
-
ㄷㄷ 지금 받는중
-
이상 챗지피티 입장이라고
-
금방 갓다와서 수능공부 다시 해야지
-
3x+4cosx • ( 6파이(x-1)^2) 이걸 그릴수 있음?
-
월~금 하루 4~5시간 / 토요일 8시간 이상 수학공부중입니다. 일요일에 강기원샘...
-
중학생이라는데..
-
존>도>설 맞?
-
.
-
연대나 고대나 21
둘 다 좋다고 생각해요
-
서>>연서성한중경외시건동홍>>>>>고 뭔 끼워팔기를;
-
김과외올려뒀는데 완전인증만 되면 바로 비벼봐야지
-
치킨은 없었다. 0
-
가끔 휴릅하고도 로그인 안하고 메인 가끔씩 봤었는데 이번 메인은 못 참았다 개미친...
-
5시 이후에 조기발표 하는 경우도 있을까요? ㅠ
-
오늘 써볼 칼럼에서는 수학과 과탐의 차이를 중점으로, 수학의 특징에 대해 얘기해보려...
-
선생님의 풀이를 보며 아무 생각이 들지 않고 집에 가고싶다 ->악깡버 하면 안됨...
-
기상 5
하이
-
서울대라는 파워가 생각보다도 훨씬 크더라 연고-서성한 차이보다 서-연고 차이가 훨씬 큰거 같음
-
뻥이다
-
수능 89 97 1 88 88 인데 6모 99 98 1 95 88 뭐가 유리할까요
-
체감상 10개 올라오면 다 놓치고 겨우 하나 잡는듯
-
...
-
비명문대생이라 슬프면 개추 ㅠㅠ
-
#~#
-
동국대 조발 2
ㄹㅇ 안 한다고?
-
ㅇㅇ암튼 그럼
-
시발ㅋㅋㅋ
-
5시 0
그리고 아무일도 없었다
-
입결이나 뭐 나온 거 없고??
-
저는 솔직히 미적에 과탐까지는 뇌 용량이 딸리는거같아요 이걸 한번에 성공적으로 하는...
-
10년생도있네 와
-
청소년을 위한 자본론 원숭이도 이해하는 공산당선언
-
수특 판매지수 보니까 이거 잘못 고르면 첫단추부터 ㅈ된다는 생각이 든다ㅋㅋ 공부를...
몽골이면 13세기부터 시작이니까 2, 4번은 아니고 1,3,5 중에 찍어야 하는데 1,5는 14세기이고 3번은 모르겠어서 3번..?
저 서한을 전달한 인물이 카르피니입니다
좀 김빠지는 문제긴 해요
자고 일어나서 멍 때리다가 풀었는데 잠이 확 깼어요 ㅎㅎ
몽골제국이 서양 교황에게 보낸거 침략 막기 위해 카르피니 사절댜 보낸거
카르피니 사절단 3번!
3번!
사실 오늘 내기 좀 귀찮았…
일단 답은 ③.
풀이: 의식의 흐름.
대파파, 누구지? (밑에 읽고 난 후) 아, 교황이구나. 구유크 칸 시대의 교황이 누구인지... 모르는데...? 구유크 칸이면 3대 칸이니까 칭기즈 칸 부족 통일 1206부터 원(쿠빌라이) 국호 바꾸는 1271년 사이의 일이겠지?
① 아비뇽. 교회 대분열 이후니까 제끼자. 14세기였던 것 같은데.
② 성상 파괴로 황제랑? 에이, 함정이네. 황제랑 언제 성상 파괴로 대립했어?
③ 카르피니. 어? 모르겠는데? 일단 몽골 시대인 건 아니까... 세모.
④ 클레르몽. 1200년 이전이잖아. (1099년 1차 십자군 전쟁이전. 아마 1195년이었나?)
⑤ 필리프 4세. 어, 그럴 듯? 근데 보름스 협약으로 교황권이 하늘을 찌를 때가 1233년 아니었나? 그럼 바로 필리프 4세가 치고 올라올 리가 없을 텐데?
해서 ③ 찍었네요...
댓글 보니까 저 서한이 카르피니였네요. 쿠빌라이 시대에는 마르코 폴로였나 봐요. 하여간 카르피니도 몽골에 사절 간 거는 어제 연표 외워서 맞출 수 있었던 것 같아요.
보름스는 1122년입니다
별개로 13세기 초(인노켄티우스 3세)가 교황권 절정 시기이긴 해요. 이때는 13세기 중엽
악. 카노사가 11세기였네요... 확실히 13세기 초 생각하고 있었는데 보름스도 아무 생각없이 그때쯤이라고... 감사합니다!
음....좀 김빠지긴 하네요
몽골제국기에 교황이 보낸 사절단이라 하면...
제시문이 너무 지엽이라 그릉가
3세가 교황은 해 황제는 달 교황권 절정기였죠?
근데 둘이 직접적인 관계는 없는거죠? 유럽 왕들은 이름을 막 가져다 쓰니까 헷갈림..
3
저번에 카르피니가 구육때 왔다면서요
몽골제국 배울때 본 친구가 저 선지로만 보면 카르피니밖에 없어서 3번하긴 했는데..
몽골제국이 대충 13-14c니까(카르피니는 13C) 그래서 3번?
1.아비뇽 유수 1309-1377년(14C)
2.성상파괴령 726년(시기 안맞음)
4.1095년(시기 안맞음)
5.보니파키우스 8세 농락(필리프 4세 삼부회 소집 1302년) (14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