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독해란 글을 읽는 것이 아닙니다.
게시글 주소: https://snu.orbi.kr/0005812357
모 신문의 교육 관련란에 정기 기고중인 제 글입니다.
수험생활의 초기에 필요한 글이라 올립니다. 시간이 흐르고 나서야 이런 부분에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는 학생들이 안타깝습니다. 사실 지금 고3인 학생들도 안스럽습니다.
---------------------------
독해란 글을 읽는 것이 아닙니다. 이 궤변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독해(讀解)를 풀어 말하면 ‘글을 읽고 이해하는 것’이 됩니다. 이 말을 엄밀하게 생각해보면 아래와 같이 분석하게 됩니다.
독해 = 글을 읽고 이해한다 = 글을 읽는다 + 그리고 ‘읽은 그것을’ 이해한다
심리학에서는 이해를 ‘언어 정보를 자신의 인지 과정에 의해서 의미적으로 해석하고 표상하는 과정’이라고 합니다. 글 이해에서 가장 중요한 인지과정은 추론인데, 추론은 ‘알려진 사실로부터 새로운 사실을 추출해 나가는 과정’입니다. 국어 교육과정에서도 ‘글에 명시적으로 제시된 정보로부터 제시되지 않은 정보를 얻는 것’을 추론적 이해라 하면서 매우 중시하고 있습니다. 어떤 학자는 독해란 추론의 과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말하기까지 하였습니다.
그런데 독해에서 그렇게도 추론이 중요하다면 ‘글’을 읽고 ‘읽은 그것’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오히려 ‘글에 제시되지 않은’ 어떤 것을 어디에선가 가져와야 합니다. 글을 이해하려는데 글에 없는 것을 가져온다? 도대체 어디서 무엇을 가져온다는 말인가요? 정말 독해가 그런 것일까요? 혹시 잘못 생각한 것은 아닐까요? 글인 듯이, 글이 아닌 듯이... 이런 상황이 되어버렸습니다.
다시 심리학의 도움을 받겠습니다. 언어심리학에서 글은 ‘생각의 단서’라고 말합니다. 글은 우리가 무엇을 연상할지를 인도해 줍니다. ‘부산’이라고 써놓은 표지판은 목적지인 부산으로 가는 길이 어느 쪽인지를 가르쳐 주지만 목적지는 아닙니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글을 읽지만 글로 인해 어떤 관념을 떠올렸을 때 비로소 글을 이해했다고 말합니다. 아래 문장을 읽을 때 어떤 관념을 떠올리는지 설명하겠습니다.
콩나물의 가격 변화에 따라 콩나물의 수요량이 변하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다.
1. 단어를 읽고 기억 속에서 단어의 의미를 떠올린다.
2. 단어 주변에 저장된 지식들이 함께 연상한다.
3. 문장(글)이 구성하는 상황과 유사한 상황을 연상한다.
위 문장을 읽으면서 , , 등에 대한 개념 지식을 떠올립니다. 더불어 는 문장에 없는 ‘물가’에 대한 지식이 떠오르게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경험에 따라 ‘물가’에 대한 지식이나 와 관련된 경험을 연상을 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콩나물이나 다른 반찬거리 또는 물건의 가격이 올라서 그것을 사려 할 때 머뭇거리거나 반대로 가격이 내려서 주저없이 샀던 경험이 있다면 그런 경험을 떠올리게 됩니다. 이런 경험에 관한 기억은 이라는 개념 지식을 만나 다시 하나의 상황을 구성합니다. 상품의 가격 변화에 따라 구매 의사가 달라졌던 자신의 경험을 다른 사람들도 겪을 수 있다는 생각을 통해 의 상황을 이해하고 그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라는 말에 동의를 할 수 있게 됩니다.
문장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기억은 두 가지 면으로 기여를 했습니다. 기억은 문자를 해독할 수 있는 정보인 단어의 의미(콩나물, 수요량)를 저장하였다가 내어주고, 문장에서 발견한 상황(콩나물 가격 변동 ~ 수요량 변화)과 유사한 상황의 경험(어떤 상품의 가격 상승/하락이 자신의 구매에 영향을 줌)을 저장하였다가 내어주는 저장 창고로서의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기억은 여러 단어들을 조합하여 문장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각 단어들로부터 연상한 단어 지식이나 경험들이 만날 수 있는 심리적 장이 되어주었습니다. 전자를 장기기억(long term memory)라고 하며, 후자를 작업기억(working memory)라고 합니다.
추론은 글을 읽고 장기기억에서 작업기억으로 불러낸 관념을 ‘읽고’ 그것으로부터 다시 장기기억에서 지식이나 경험을 불러내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저는 독해란 글을 읽음으로써 1차적으로 그리고 2차적으로 떠오르는 관념이 맺히는 작업기억을 읽는 것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만약 글을 읽되, 추론하지 않는다면 다시말해서 작업기억에 맺힌 관념을 읽지 않는다면 이해를 할 수 없고 단지 나열된 단어들을 기억할 뿐입니다. 무엇이라고 적혀 있는지를 기억하는 것은 이해한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많은 학생들이 글 기억을 글 이해라고 오해하고 있고 이렇게 잘못된 읽기 또는 이해로 독해와 학습을 하고 있습니다.
독해력이 학습의 기본이라고 말을 합니다. 저는 이 말에 동의합니다. 기본기를 정확하게 쌓기를 바랍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입시 끝 1
으흐흐
-
시립대 0
최초합 ㅅㅅ 끼얏호우
-
맞팔 구 0
금테 좀 달자
-
기하는 유기한다고 했으니 그려려니 하는데 공통도 유기한거야...? 혹시 강의 언제쯤...
-
이어폰 오래쓰면 청력에 악영향 있을까봐 고민임
-
안녕하십니까. 한대산 영어 연구소입니다. 2026학년도 수능을 대비하는 과정에서...
-
검은거 벅벅하는게 나음?
-
헌재 尹 탄핵 심판, 커지는 불신… “신뢰 못해” 2030 가장 높아 1
재판관 편향 논란에 절차도 문제… 여론조사서 신뢰 52 vs 43 불신 헌법재판소의...
-
홍대식 128.45인데 이 점수면 홍대 경영 안쓰는게 맞았던거겠죠? 홍대경영 대신...
-
대학 등록 0
최초합 한 대학교 등록 취소하려면 그냥 입학처에 전화해서 말하면 되나요..?...
-
집에서 따듯하게 라면먹기
-
성균관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성대25][G하우스 1인실]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성균관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성균관대학생,...
-
후보인것만 알려주네
-
1년 다니고 워홀 호주로 갈껀데 마음은 경희긴 한데 숭실 정보보호도 계약학과라 고민이 되네요..
-
문과 기준 중경외시도 못 갈 것 같으면 안 하는게 맞는 것 같음 그 아래부터는 학벌...
-
사유: 급유
-
예비받으신분들 저 빠져요
-
가능할까요 3년 동안 추합율이 180/240/130이고 모집인원이 19명인데 안 될까요
-
제곧내 오르비 이용을 거의 안해서 뭐가 좋은 지 모름 ㅎㅎ;; 메가 듣고있기는...
-
21명 정원에 예비 27번이면 가능성 제로겠죠... 작년엔 26명정원에 23명까지...
-
절대 조발안하네 아오
-
개같이광탈
-
숭실 자연 자전 0
230명 뽑는데 예비 166인데 되려나요.. 전년도는 없다고 봐야해서 모르겠네요
-
바빠서 도시락 못챙겨와서 점심 햄부기 사먹었는데 배탈남 그냥 프랭크버거 기본버거 먹었는데...
-
음음 그래그래
-
교과우수상은 그렇다 치고 진보인증서는 성적향상한 기억이 없는데
-
투표받는다. 10
-
시립떴다!!! 0
ㄹㅇ
-
글 많아서 당황했었음 근데 그냥 전전 비전식스반 줄임말이었던 건에대하여......
-
숭실대 추합 0
이거 추합 가능하겠죠? 3개년 충원률은 항상 150% 이상이긴한데..
-
상대방이 내 게시글에 쓴 댓글 삭제
-
??? 어떻게 2번이 틀린 거지?
-
오 ㅋ
-
https://orbi.kr/00071815407 혹시나 해서 슥 봤는데… 합격을...
-
숭실대 자전 되겠죠? 11
예비 6번입니다
-
설공 적정 성적대로서 직관했었는데 가채때랑 실채 비교시 실채때 적백 때문에 전체적인...
-
강기분 2025 독서 문학이 미개봉 4만원에 올라왔던데,, 그냥 교재비 14만원...
-
과투표좀 6
갑자기 궁금해서 올려봐요
-
LCK 정보) 페이커의 쉿 포즈는 페이커가 원조가 아니다 10
은근 모르는 사람들 꽤 많을듯?
-
학교에서 성적순으로 주는 장학금말고 나오는 장학금있나요?
-
오늘은 7
수학2하는 중
-
쉽지 않군 0
-
“정무적 영향 있었다” 멀어진 대왕고래…대통령실도 난감 [용산실록] 3
윤석열 대통령. [연합]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개발인...
-
ㄷㄷ 교사 입갤
-
설뱃 4
ㅎㅎ
-
설의 면접에서 눈에 띄게 잘생긴 사람이 한 명 있었음 29
옷 멋있게 입고 키 크고 잘생겼더라 붙었을까..
-
은퇴...
그러면 글을 읽으면서 단어의 의미를 생각한 다음 자신의 기억과 연관하여 생각하면서 글을 읽으면 되나요?
의도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자동적, 반사적으로 연상되어야 됩니다 기억속의 지식과 연결해서 글에는 제시되지 않은 지식체계의 한 부분에 닿으면 그 체계를 글 이해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바로 추론을 말하는 것입니다
저의 예전 글을 좀 더 보시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