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 vs 약대 선택가이드
게시글 주소: https://snu.orbi.kr/00060351461
기본적으로 본인의 미래인만큼 어느쪽을 선택할지
자기자신이 그 누구보다 가장 깊고 많이 고민해야할 문제이며,
선택한 결과에 대하여 본인을 제외하면
그 누구도 책임지지 않습니다.
저는 진로의 특성을 제시할 뿐,
결정하고 책임지는건 수험생 본인입니다.
각자 사정에 맞는 현명한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공대출신 대기업 직장인과 약대출신 빅5 병원약사는
급여, 복지같은 특성들이 상당히 비슷합니다.
따라서 해당 글은 로컬약사와 공대출신 대기업 직장인과의
비교라고 보시면 됩니다.
공대출신 대기업 직장인의 장점)
약대보다 2년 빨리 사회로 진출하여 자본을 모을 수 있다. (2년이면 세전으로 최소 1억은 넘게 차이날듯... 이거 꽤 커요.)
대부분의 약대생이 로컬 또는 병원으로 가는 것에 비해 (로컬이든 병원이든 약사로서 수행하는 업무 자체는 전반적으로 유사함), 공대 졸업시에는 더 다양한 진로가 기다리고있다. (e.g. 대기업의 수많은 직렬들, 복수전공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전공의 다양성, 변리사, 연구원 등등...)
로컬약사와는 비교가 안되는 복지혜택을 누릴 수 있다. (로컬약사의 복지는 정말 최악이긴합니다. 유급휴가 1년에 5개정도 주는게 평균이라던데.... 더 쉬고싶으면 때려쳐야하고 ㅋㅋㅠ)
한정적인 사람들과 좁은 물에서 일하는 로컬약사와는 달리, 큰 물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며 일할 수 있다. (약국에 종사하는 직원 수는 주로 약사포함 5명 이하입니다.)
로컬약사는 공간적으로 좁은 약국에서 근무를 하지만, 대기업 직장인은 좋은 건물과 좋은 근무환경 속에서 일할 수 있다.
로컬약사는 능력에 따른 보상체계가 대기업에 비해서 부족한 편이기에, 본인이 능력만 있다면 폭풍승진을 통해 자기자신의 가치를 드높일 수 있다.
몸과 정신이 아픈 환자들을 주로 상대하는 약사와 달리, 몸과 정신이 건강한(?) 사람들과 업무를 수행한다.
처방조제의 경우, 약사업무는 수동적이고 정적이지만 직장인의 업무는 상대적으로 보다 더 능동적이고 주체성이 있다.
로컬약사의 장점)
약대 재학시, 취업에 대한 부담감이 제로이며 따라서 학점에 대한 부담감과 스펙에 대한 부담감이 거의 없다.
대학병원에 근무를 하든 제약회사에 근무를 하든, ㅈ같으면 그 즉시 때려치고 바로 로컬약국로 갈아탈 수 있다. 이직 준비기간 같은건 존재하지 않는다. 즉 이직이 매우 자유롭기에 퇴직에 대한 부담감이 매우 적다.
대부분 지방근무를 하는 공대출신 직장인과는 달리, 본인이 근무할 지역을 수도권이든 지방이든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본인의 워라밸과 pay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근무시간, 근무일수, 업무강도 선택가능. 해당 조건에 따라 pay가 달라짐.)
정년퇴직에 대한 부담감이 없다.
면허에 대한 안정성이 있다. (아무리 인간 자체가 ㅂㅅ이고 업무수행능력이 떨어지더라도, 최하 페이약사 페이 정도는 보장되어 있다. 취업못하고 이런거 없음.)
약국에선 직급없이 다 같은 약사이므로, 조직생활 스트레스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근무지에 상사가 없는 수평적인 분위기라고 보면 된다.)
성과압박이 제로에 가까우며, 승진에 대한 스트레스가 없다.
근무 초반에는 대기업에 비해 급여가 조금 더 높은 정도에 불과하지만, 개국시에는 엄청난 차이가 발생하게된다. (세간에
알려진것과는 달리, 집안지원 없이도 충분히 개국이 가능하다.)
전문직 우대를 받기에 대출금리가 상대적으로 낮고, 대출한도도 높기에 투자를 할 때 용이할 수 있다.
개국약사의 경우 약국오토를 돌려놓고 여가시간을 즐길 수 있다.
생각나는 한도 내에서의 차이점을 기술해봤어요 !
쓰고보니 그냥 메디컬 전문직의 특성을 적은 거 같기도...
뭐 암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개인성향에 따라 최선의 결정하시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졸업식 갈까말까 0
나혼자 고4라서 가기 ㅈ같음
-
이게뭐노
-
ㅇㅇ
-
똥글 싸러 왔는데 아프면 슬퍼요
-
대체 어디서 도는 소문이지 요즘 그런거 하면 큰일난다고 선배들이 힘들면 그만...
-
https://orbi.kr/00071800580 현재 밑에서 열띤 토론이 열리고...
-
ㅇㅇㅇ
-
이화여대 문자 1
이대 조회하면 합격했다는데(합격통지서까지 확인 가능했음) 총장 문자가 안와서요ㅠㅠ 괜찮은 건가요??
-
본거 또보고
-
수분감 강의 1
수분감도 인강 하나하나씩 다 들어야할까요?
-
수능 만점자 50만명 생김
-
안녕하세요 형님들 다름이 아니라 제가 탐구 선택과목을 물1지1을 공부 하고 있는데...
-
사람보다나음
-
그리운 삿포로 8
또가고싶구나
-
제가 가고 싶거든요
-
혹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그니깐 보통 추합이 10명 이상이었다면 2022년에...
-
계획표 예시를 보내달라는데 파일 첨부가 없는데 아케 보내요 ㅜㅜ
-
흐흐 이제 내가 진짜다 13
췍 디스 사운드 나는 정시…
-
근데 연고대 두려운게 15
죽어라 술 마시는 문화잖음 중대는 술 그렇게 막 먹진 않았는데 연고대 애들은 막...
-
자취가 마렵구나
-
개뻘글도 순식간에 조회수 300넘네
-
반수 사탐런 1
23, 24, 25 화생 하면서 느낀게 과탐이 망했다는거임 분명 2년 전까지만 해도...
-
헌법 0
헌법의 최고 가치를 지향하기 위한 행위로 헌법 위반이 불가피하다면..
-
있음? 비용 얼마나가? 생활은 어때?
-
ㅋㅋㅋ 내 시선에선 그럼 꼬우면 재학생 인증도 해드림 ㅋㅋㅋ
-
그덫발포는 씹명반이고 랩 잘하는데 여기선 이미지가 말 그대로 ㅈ으로 잡혀서
-
생각보다 많다
-
N제 실모가 퀄 더 좋은 문제도 많은것같음
-
ㅇㅇ.
-
결과 나오신분들 점공등수 대비 실제등수 어느정도 밀리셨나요..? 점공 47프로정도...
-
제이팝 추 0
-
33판만 하면 되겠구만
-
반수하려는데 0
메가패스 지금 뉴스타트로 10만원 할인받고 사는 거 말고, 반수용으로 또 나중에...
-
아오왤케오래걸려
-
점공 보는데 점수 뒤집힌것들 개많이 보이네 ㄷㄷ
-
재수생 생명과학 0
25수능 44점 풀맞한 학생입니다,, 어차피 재수가 확정이라 그냥 못푼거는 안찍고...
-
건국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건국대 25][새내기들을 위한 사이트]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건국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건국대학생들을 돕기...
-
다 알면서 놀리려고 wwe하는거임 아이디가 뭐냐고 묻는 것도 아니고 레벨이 몇이냐고...
-
ㅇㅇ 풀어보고 후기남김
-
방금 남자 ㄱㅊ보고 왔음......... 님들은 어떰?
-
사실상 여기에 반대하는 팬들도 거의 없을것같은데 사실상 반대하면 본인팀 선수 챔폭...
-
'업그레이드'로 ㄱㄱ
-
제 친구 부산대에서 학점은행제로 1년만에 고대 높공감
-
현우진왈 2
입문n제 필요없다 어케 생각함?
-
설기계 추합 0
2배수 털릴까요?
-
고지능 ADHD 3
ADHD약 먹으면 드라마틱하게 점수가 올라가나요?
-
애가 이상한데 술에 꼴은 말투가아닌데 조현병 같이 내 말 제대로 이해못하고 계속...
-
b: 나도 대학생입니다. (내 눈엔 문제 있어보인다) a: 그래서요? 뭐 어쩌란거임?
-
예비 고3 입니다. 국어: 평가원 모의고사는 2~1컷정도 나오고(집모 의미 없는 것...
-
동생이 이상해 1
우리 가족들은 술이 약할리가 없는데 와인 한 병에 막걸리 한 병마시고 비틀거리네
약대!약대!약대!
약대면 개같이 기어갈듯...솔직히 공대로 임원까지 가면 공대가 좋을 수 있는데 그 확률이 있기는 함?
임원까지 다는 사람은 극소수긴합니다..
임원다는 것보단 수능봐서 메디컬 가는게 더 확률 높을지도..
붙으면 개같이 기어감 ㄹㅇ
스카이 서성한 공대애들이 약대가는 경우는 있어도 반대인 경우는 못봄....(뭐 극소수 있기야 있겠지만)
공대 단점)노예다
하닉 연구직에 있다가 약대로 탈출한 사람인데, 아직 약사는 아니라서 대기업에 대한 내용만 경험에 빗대서 몇 가지 적어봄 (반박시 님말이 맞을지도?)
1. 빨리 자본 모을 수 있다.
=> 맞말이긴 한데 고작 2년이고, 정년이 없는 면허증 파워에 비하면 진짜 아무것도 아님. 그마저도 2년 지나면 페약 페이보다 낮음
2. 복지 혜택
=> 이건 인정. 솔직히 복지 내용 너무많아서 뭐 있는지조차도 다 기억이 안남. 복지에 대해 공부를 해야 될 정도. 기억나는 것만 적어봐도 대출, 의료비 및 건강검진 지원 (가족까지), 부대 시설 이용 등등 사내 연애가 마려워짐
3. 다양한 사람, 좋은 근무환경
=> 애초에 다양한 사람이랑 일하는게 좋은 지 안 좋은지는 운빨임. 담당자 자꾸바뀌어서 열받을때도 많고, 그만큼 트롤도 많음. 근무환경은.... 노예가 일하는데 금발린 건물에서 일한다고 덜 힘들까...? 개인적으로 전혀 공감 안됨. 실제로 입사하고 연구소 건물이 신축됐는데, 오히려 이사때문에 사람들 다 짜증나했었음
4. 능동적인 업무, 확실한 보상
=> 내가 퇴사한 이유임. 능동적이긴 개뿔 위에서 시키면 개 어거지라도 일단 해야됨. 물론 약간의 자율성이 주어지긴 하는데, '하고 싶은 일'을 하기는 매우 힘듦. 고과에 따른 보상도 존재하긴 하는데, 가성비가 매우 안좋고 여기서 부터는 객관적인 능력보다 정치 능력이 많이 뒷받침이 돼야함. 본인이 사교성이 평균 이하라면 오히려 스트레스 받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