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수능 문학 풀이 의문에 관한 설명
게시글 주소: https://snu.orbi.kr/00069559894
안녕하세요.
모아보기를 보다가 제 풀이에 대한 의견을 주신 분이 계셔서 글을 작성합니다.
저격성이다 라고 말씀하셨는데 저격이 기분이 나쁠 것은 없고, 혹여 제가 잘못된 풀이를 쓴다고 생각하실까 하여 글을 작성합니다. (기분이 나쁘지 않은 게 굉장한 실력자 칼럼러시더라구요)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작성자 분과 제가 말하는 내용은 같은 맥락입니다.
새벽이라 살짝 두서가 없을 수 있어 번호를 매겨 작성해봅니다.
1. 저는 적막함을 천함이라고 연결 짓지 않았습니다. 귀함-천함은 대비되는 짝은 맞는데, 글의 어느 부분에도 그렇게 서술하지는 않았습니다.
2. 사실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데.. 애초에 A 대신 B를 주었다고 했던 게 이 글의 주제이고, 작성자 분은 이걸 두고 아예 다른 얘기를 줬으니 틀린 거죠! 라고 하셨기 때문에 동일한 의견입니다. 즉 이항대립적 서술을 정면으로 비판하며 쓴 글이지 이항대립으로 풀어야 한다고 쓴 적이 없습니다. 오해하신 부분에 나온 저 말은, 차라리 안정감이라는 말을 주었다면 맞았을 텐데.. 의 의미입니다.
3. 제가 말하지 않은 부분에서 조금 오해가 있으신 듯합니다.
저 글 자체가 평가원의 거대한 A와 ~A의 구조를 설명한 것이 아닙니다. 애초에 A 대신 B를 제시했다는 게 중심 내용이기 때문에.. 다시 덧붙이자면 이건 이항대립이 아니라 전혀 다른 말을 주었다는 것을 설명한 부분입니다. A : 원래 나와야 할 말 B : 맥락에도 안 맞는 전혀 다른 말 이라고 이해해주시면 될 듯합니다.
또한 글을 읽어보시면 귀함 - 천함의 대비는 있으니 그 말은 맞을 것이고, 인간만은 그걸 따지는데 하늘은 사사로움이 따지지 않는다는 것이 제 설명입니다.
예전에 썼던 이 글에서도 작성자 분과 똑같은 견해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단 그림 참조)
또한 3년째 오르비에서 줌 과외를 하고 있었는데, 올해 강의에서도 똑같이 주제성에 대한 언급을 했고 작성자 분과 똑같은 풀이를 했습니다.
즉 작성자 분께서 말씀하신, 주제성으로 푸는 건 똑같은 맥락이고
제 문학 칼럼에서는 원래도 주제성으로 걸러지는 것에 대한 부분을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저는 학원도 다녀본 적이 없고 독학으로 했어서 그 전까지 그런 얘기를 하시는 다른 오프라인 강사 분이 계셨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수강생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인강에서는 없었던 듯합니다.)
제가 썼던 칼럼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같은 맥락이라는 말이 무슨 의미인지 이해되실 듯합니다.
4. 사후적인 풀이는 제가 가장 지양하는 부분입니다.
어딘가 걸리는 부분이 있으셔서 그렇게 말씀하셨을 듯한데, 저는 그런 부분에 있어서 "이런 건 현장에서 생각하기 어려우니 다른 방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다."라는 식으로 늘 이야기를 해왔습니다.
지금까지 제 칼럼을 읽어보신 분들은 공감하실 것 같습니다.
좋은 의견 내주셔서 감사하고, 오해가 있는 부분만 덧붙여 보았습니다.
24수능 95점이시면 상당히 실력자이신데 앞으로 국어 칼럼 많이 올려주시면 샤라웃 많이 하고 다니겠습니다.
이 글 쓴 분이니 팔로우 한 번씩 눌러주세요.
그리고 작성자 분은 내년도 혜윰 모의고사 검토진으로 모시고 싶은데 혹시 의사가 있으시다면
hyeyum.korean@gmail.com으로 메일 하나 남기신 후 댓글 부탁드립니다.
다른 사람의 풀이에 이의를 제기하셨다는 점, 저를 저격하긴 하셨지만 문학 보는 관점이 저랑 같으신 점 등에 있어서 적합하시다고 생각합니다. 보통 학생들은 검토를 해도 자신 있게 이건 틀렸다! 라고 말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요.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강민철 신난 거 너무 귀엽네 ㅋㄹㅋㄹㅋㄹㅋ 그리고 새기분 되게 신경 쓴 거 같아서 기대되는구만
-
정시 추합되면 1
학교마다 추합발표 몇시고 몇시까지 등록해야되는지는 어떻게 알아봄?? 모집요강에...
-
재밌을것같긴한데
-
시대 vs 시대 3
ㄱㄱ
-
딴 학교 추합되면 걍 쌩돈 날리는거임?
-
담뇨단이라도??
-
별자리가될수있다면 10
좋겠구나
-
1월에 학원 들어오기 전에 알바해서 120 30정도 모아서 들어왔는데 메가스터디...
-
진짜임? 치명률도 높다는데 생각보다 기사가 없음
-
산책갔다 올게요 2
오늘도 안넘어지기!
-
설수리 정시 0
원원으로는 사실강 불가능이라고 봐야하나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강기원 시대인재
-
ㄹㅇ 저능아인가
-
쿨 진매쟁이들은 그런거 신경 안 쓰는 듯 진순을 퍼뜨리려고 버둥버둥 거리는 거 같음...
-
쿠킹덤하시는분 2
-
+@로 부족하면 세뱃돈 250만원에서 매월 10-20정도 더 당긴다고 가정했을 때
-
하고싶은데 귀찮음 그치않나요
-
얼마 정도 들고 나올수 있으려나
-
진순말고 왜 다른 라면을 먹지
-
학기중 알바 0
얼마나 하심 다들?
-
넌 그걸 핥기만 하면 돼♥ ㅎㅎ
-
국어-개학 후 1주일 뒤에 마더텅 끝남 수학-공통:수분감 스텝 0.1 끝냄(뉴런x)...
-
수학 과외 선생님 구하고 싶은데 처음이라 자잘한 팁같은 거 있으면...
-
중앙대 310관 2
자퇴신청하러 갔는데 이런 건물은 진짜 생전 처음 봅니다...
-
반말해서 죄송해여
-
쿠로이와메다카에게나의귀여움이통하지않아와 반에서가장싫어하는여자애와결혼하게되었다가...
-
기하반은 osdijn 반 안나뉘고 하나의 기하반이에요?
-
전적대(예정) 0
이라고 글을 자주 썼었는데 이젠 예정이 아니라 그냥 전적대네...
-
고반서 6
26 응시하면 3수인데 ㄱㅊ? 올해 고대 문과고 설대 문과 희망, 로입할거임
-
나보다 덕코 많음
-
전적대에 3월에 자퇴하고 재수 했는데 망해서 재입학한 상황입니다 재입학한 사람은...
-
ㅂ2
-
너무 불안하다 어떡하지
-
현역이고 광운대 공대 최초합 했는데 원서 잘 쓴건가요? 원하던 학교는 아니라 그런지...
-
700mg 먹었는데..
-
Mbti말고 0
에니어그램은 어때요
-
본인 INTJ인데 ENFP/ENFJ/INTJ 이런 느낌 좋아하는듯
-
무등비랑 삼도극은 4강밖에 없네
-
E I F S E N F P 다 비율 비슷비슷함 많아봤자 60퍼대임
-
에휴이 11
겜도 못하고 잘하는게 뭐냐
-
또먹고싶다..
-
대학원 1
가고싶다
-
대부분 요즘 자주 듣는 노래가사들임 근데 다들 모르는거같음 ㅠ
-
시대 라이브만 들어봐서 os반이 높반?이라는것 외에는 몰라서요 o반, s반이 뭘까요;
-
나 감당할게 비웃음도...
-
ㅠㅠㅠ
-
재학생분 누가 만들어주세요 계, 과 로 만들면 겹치지도 않고 유니크한데
-
다항함수 f(x) f(1)=f'(1)=3 인테그랄 x->(x+2) f(t) dt =...
95가 실력잔가+ 코기토도실력잔가(이건 반쯤 농담)를 논외로하구 둘이 같은말로 싸우는거같아서..
A가 A를 지적하는느낌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033.png)
전의 글에서 오해한 부분이 있었네요ㅎㅎ 유명하신 분으로부터 직접 답변을 받으니 정말 감사합니다! 늦었지만 좋은 하루 보내세요~!!넵 글은 남겨두셨으면 합니다 그 관점 자체는 학생들이 참고했으면 좋겠어서요
![](https://s3.orbi.kr/data/emoticons/dangi/032.png)
검토진..그거 어떻게 하는 건가요저런 자신감 멋있다
이전에 코기토님 원글도 봤었는데 큰 틀에선 두 분 관점이 다르지 않고 저도 재훈T 들었는데 코기토님 방식이 쁠마질로 느껴지진 않았음
안녕하세요 코기토님! 글과는 외람된 내용이지만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ㅠㅠ
칼럼들을 이전부터 쭉 읽으면서 이번에 혜윰도 풀고 있는데요, 혜윰이나 이감 상상같은 사설or 작수 문학 같은 경우도 적정 소요시간을 20-25분으로 보시는지, 아니면 어느정도가 적정하다고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일단 타 사설에 대한 언급은 예의가 아닌 것 같아 삼가겠습니다..
작수 문학의 경우 저도 25분 가까이 걸렸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2309에서 20분 걸렸던 거 보면 25분 걸리는 사람은 30분, 30분 걸리는 사람은 그 이상이었을 거 같네요)
혜윰 시즌2는 작수보다 쉽고 수월한 면이 있어 그렇게 훈련해주시고, 시즌1은 당초 제가 냈던 의도와 달리 너무 어렵다는 말이 많아 고정 1등급 이상의 실력이 아니시면 시간에 연연하실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사설 자체가 운영 연습용이라 생각해서, 저희 것이든 누구 것이든 뭔가 빡빡하고 더러워 보여도 답을 고르고 넘어가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독서가 쉬울 것으로 전망이 되다가 6모에서 에이어 등으로 좀 당혹감을 주었습니다.
그래서 문학 시간 자체는 여전히 20~25분 안쪽으로 끊는 연습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독서가 쉽게 나오면 그만큼 다시 돌아가서 시간을 재투자하면 되니까요.
그런데 20분컷 안하면 죽을 것처럼 스트레스 받으실 필요는 없습니다.
80분 써서 만점 받을 수 있으면 당연히 그게 나은 거니까요.
다만 시간이 부족하시다면 방법을 익혀보실 만한 가치는 있을 듯합니다.
자세한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넵 이해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너무 스트레스받진 않되 의식하면서 해볼게요!